블로그 이미지
잃어버린 조상땅찾기에 유익한 정보를 제공하는 www.findarea.co.kr 관리자 블로그 입니다.
조인스랜드_박성래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최근에 받은 트랙백

글 보관함

calendar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분배농지 땅찾기 지가증권 상환대장

2025. 6. 10. 12:09 | Posted by 조인스랜드_박성래
분배농지 땅찾기 지가증권 상환대장 !!!
대한민국 건국 직후 농지개혁은 이승만 정권의 최우선 과업이었다. 농지개혁은 물론 시대의 대세이기도 했고 대국민 약속이기도 했지만, 이 대통령은 토지 문제의 전향적 해결을 통해 대한민국의 정당성을 높이고 지주 계층에 기반을 둔 한민당을 약화시키려는 정치적 의도도 갖고 있었다. 지주계급이 대거 진출해 있던 초대 국회는 농지개혁을 지연시켰고 재분배 조건의 온건화를 위해 소극적인 태도를 보였다.
그러나 6·25전쟁이 시작되기 전인 1949년 6월21일 농지개혁법이 통과되었고, 농지개혁 법안이 최종 확정되어 공포된 것은 1950년 3월10일이었다. 같은 달 25일 이 법의 시행령이 공포되었고 4월28일에는 시행규칙이, 그리고 농지분배에 관한 세부 규정과 요령을 담은 ‘농지분배점수제규정’이 6월23일에 공표됐다.
정부 수립 이전부터 농지개혁에 적극적이었던 이승만 대통령의 의지 덕분에 6·25전쟁이 터지기 전인 1950년 3월에서 5월 사이에 적어도 농지의 70~80% 정도에 대한 분배가 단행되었다. 당시 50석 미만을 보상받은 영세 지주가 84.2%였고 97.8%가 400석 미만을 보상받았으나 지가증권을 통해 자본가로 변신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었다. 그러나 경제활동인구의 70.9%가 농민이었음을 고려할 때 농지개혁은 큰 의미가 있었다.
우선 1950년 6월 농지개혁 실시 이후 소작지 면적이 5.1%로 크게 낮아진 반면 자작지는 94.0%로 늘어났다. 그리고 소유 형태별 농가 구성비의 경우에도 1959년의 통계를 참조하면 자작농이 80.1%로 늘어났으며 소작농은 자소작농 12.3%·소자작농 5.7%·순수소작농 1.9%로 줄어들었다.
일제하에서 식민지 권력에 의존하여 농촌사회의 지배계층으로 군림하던 지주계급이 농지개혁과 6·25전쟁을 거치면서 완전히 몰락함으로써 농촌의 반봉건적 생산 관계는 해체되었다. 지주계급 몰락으로 농촌 내 계층 대립이 기본적으로 해소되었고 전후 농촌사회는 지주계급의 지배로부터 벗어나 국가의 통제에 들어갔고 광범위한 자작농의 창출은 농민을 보수화시킴으로써 자본주의적 질서 유지에 기여했다.
영세 자작농으로 구성된 농촌의 소상품 생산은 자본주의적 생산 관계에 완전히 편입되었고 전쟁의 무차별적인 파괴로 인한 빈민화는 사회적 지위에 따른 위세의 평준화를 수반하여 계층 상승의 기회 균등화로 나타났다. 기회균등의 이데올로기가 확산되고 교육열이 올라간 것은 양질의 노동력을 창출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으며, 국가와 자본으로부터의 수탈에 노출된 농촌에서 광범위한 과잉 인구가 퇴적되어 언제든지 도시의 공업화에 상당의 노동력을 공급할 수 있는 저수지가 형성됐다.
따라서 6·25전쟁은 농촌공동체를 흔들어 놓을 정도의 충격을 가한데다가 사회 신분 유제를 청산하고 평등의식을 광범위하게 확산시켜 자본주의 발전에 매우 유리한 사회 의식을 창출했다. 농지개혁이 전쟁과 어우러지면서 지주계급이 몰락했고 국가를 매개로 한 신흥 자본가의 등장을 촉진했으며, 농민들을 탈(脫)정치화시켜 이승만 정권에 대한 수동적 지지 기반이 형성됐다. 소작제도가 해체되고 자작농체제가 성립되자 영세농민이 소작료 부담과 경작권의 불안정에서 해방되어 농업 발전의 길이 열렸다. 이로써 한국 자본주의 체제 발전의 근간이 마련되어 60년대 발전국가의 토대를 제공한 것으로 평가된다.
전답도형도

농지개혁 조상땅찾기 조회 농지분배!!

2025. 6. 10. 12:04 | Posted by 조인스랜드_박성래
농지개혁 조상 땅찾기 조회 농지분배!
제2차 세계대전 후 세계 자본주의 체제의 확립을 추진하던 미국은 한반도를 그에 편입시키고자 군정 실시 직후 사유재산권을 철저히 보호하고 시장경제를 도입하는 등 자본주의 체제를 수립해 나갔다. 당시 초미의 현안은 농지개혁과 적산 처리 문제였다.
1946년 12월12일 과도입법의원이 개원하자 미 군정청은 농지개혁 법안을 우선적으로 취급해 줄 것을 요청하고 1947년 5월부터 농지개혁안을 기초할 한·미 소위원회를 가동하기 시작했다. 그해 12월23일 농지개혁안이 본회의에 상정되었으나 입법의원의 중추 세력을 이루고 있던 지주계급 출신 의원들의 ‘농지개혁은 중요한 문제이므로 정부 수립 이후에 실시하는 것이 정당하다’는 등 반대에 부딪혔을 뿐만 아니라 갖가지 술책에 의한 심의 지연으로 입법화되지 못했다.
미 군정은 사회 안정을 이루기 위해서는 농지 분배가 시급하다는 사실을 잘 알고 있었기 때문에 1948년 3월22일 미 군정법령 제173호의 공포로 자신들이 관리하고 있던 신한공사 소유 귀속농지를 분배했다. 1946년 2월21일 미 군정법령 제52호에 의해 설치된 신한공사는 일제 치하 동양척식주식회사가 소유했던 전 재산과 일본인 소유의 전 재산을 관리했는데, 총면적은 남한 총경지면적의 13.4%에 달했고, 그 토지를 경작하는 소작농가는 남한 전체 농가 호수의 27%나 되었다.
과세지견취원도

http://www.findarea.co.kr

 

조상땅찾기에 오신걸 환영합니다

조상땅찾기 전문, 상담, 조상땅조회, 토지조사부.

findarea.co.kr

 

농지개혁 조상땅찾기 조회 농지분배!!

2025. 6. 10. 12:02 | Posted by 조인스랜드_박성래
농지개혁 조상 땅찾기 조회 농지분배!
제2차 세계대전 후 세계 자본주의 체제의 확립을 추진하던 미국은 한반도를 그에 편입시키고자 군정 실시 직후 사유재산권을 철저히 보호하고 시장경제를 도입하는 등 자본주의 체제를 수립해 나갔다. 당시 초미의 현안은 농지개혁과 적산 처리 문제였다.
1946년 12월12일 과도입법의원이 개원하자 미 군정청은 농지개혁 법안을 우선적으로 취급해 줄 것을 요청하고 1947년 5월부터 농지개혁안을 기초할 한·미 소위원회를 가동하기 시작했다. 그해 12월23일 농지개혁안이 본회의에 상정되었으나 입법의원의 중추 세력을 이루고 있던 지주계급 출신 의원들의 ‘농지개혁은 중요한 문제이므로 정부 수립 이후에 실시하는 것이 정당하다’는 등 반대에 부딪혔을 뿐만 아니라 갖가지 술책에 의한 심의 지연으로 입법화되지 못했다.
미 군정은 사회 안정을 이루기 위해서는 농지 분배가 시급하다는 사실을 잘 알고 있었기 때문에 1948년 3월22일 미 군정법령 제173호의 공포로 자신들이 관리하고 있던 신한공사 소유 귀속농지를 분배했다. 1946년 2월21일 미 군정법령 제52호에 의해 설치된 신한공사는 일제 치하 동양척식주식회사가 소유했던 전 재산과 일본인 소유의 전 재산을 관리했는데, 총면적은 남한 총경지면적의 13.4%에 달했고, 그 토지를 경작하는 소작농가는 남한 전체 농가 호수의 27%나 되었다.
과세지견취원도

http://www.findarea.co.kr

 

조상땅찾기에 오신걸 환영합니다

조상땅찾기 전문, 상담, 조상땅조회, 토지조사부.

findarea.co.kr

 

농지분배 조상땅찾기 분배농지 손해배상

2022. 12. 22. 18:53 | Posted by 조인스랜드_박성래

대법원 2021. 4. 8. 선고 2020다219690 판결

[손해배상(기)] [공2021상,957]


농지분배 조상땅찾기 분배농지 손해배상

[판사사항]                                                                                                                                                                                 [1] 확정판결의 기판력이 미치는 범위                                                                                                                                        [2] 갑 등 망닌들이 국가를 상대로 농지분배처분을 원인으로 하는 소유권이전등기청구소송을 제기하였다가 패소판결이 선고되고 확정되었는데, 그 후 갑 등의 상속인들인 을 등이 국가가 행한 일련의 불법행위 때문에 분배농지에 관한 수분배권을 상실하였다며 구가를 상대로 손해배상을 구한 사안에서, 을 등이 제기한 손해배상청구소송에서 문제 되는 농지분배처분 무효 내지 갑 등의 분배토지에 관한 수분배권 존부에는 위 확정판결의 기판력이 미치지 않는다고 한 사례            

   

경계점좌표등록부

 

http://www.findarea.co.kr

 

조상땅찾기에 오신걸 환영합니다

조상땅찾기 전문, 상담, 조상땅조회, 토지조사부.

findarea.co.kr

 

[판결요지]                                                                                                                                                                                 [1] 확정판결의 기판력은 소송물로 주장된 법률관계의 존부에 관한 판단의 결온에만 미치고 그 전제가 더ㅣ는 법률관계의 존부에까지 미치는 것이 아니다.                                                                                                                                              [2] 갑 등 망인들이 국가를 상대로 농지분배처분을 원인으로 하는 소유권이전등기청구소송을 제기하였다가 패소판결이 선고되어 확정되었는데, 그 후 갑 등의 상속인들인 을 등이 국가가 행한 일련의 불법행위 때문에 분배농지에 관한 수분배권을 상실하였다며 국가를 상대로 손해배상을 구한 사안에서, 

분쟁지 조사

 

위 확정판결의 기판력이 미치는 법률관계는 갑 등의 국가에 대한 소유권이전등기청구권의 존부에 한정되고, 을 등이 제기한 손해배상청구소송에서 문제 되는 농지분배처분 무효 내지 갑 등의 분배토지에 관ㅘㄴ 수분배권 존부는 그 전제    가 되는 법률관계에 불과하여 위 확정판결의 기판력이 미치지 않는다고 한 사례                       

지위등급 조사

 

[참조조문]                                                                                                                                                                               [1] 민사소송법 제216조 제1항 [2] 민사소송법 제216조 제1항

[참조판례]                                                                                                                                                                                [1] 대법원 2002. 12. 27. 선고 2000다47361 판결(공2003상, 495)                                                                                            대법원 2005. 12. 23. 선고 2004다55698 판결(공2006상, 169)                                                                                                대법원 2009. 3. 12. 선고 2008다36022 판결

 

지적도(폐쇄)

                       

[전 문]

[원고, 피상고인]  원고 1 외 55인 (소송대리인 변호사 이찬진 외 4인)

[원고 1 승계참가인]  원고 1의 승계참가인 1 외 7인 (소송대리인 변호사 이찬진 외 1인)

[피고, 상고인]  대한민국 (소송대리인 정부법무공단 담당변호사 이재형 외 2인)

[원심판결] 서울고법 2020. 2. 7. 선고 2018나2036456 판결

 

지형도 축도작업(사진제판)

[주 문]                                                                                                                                                                                        상고를 모두 기각한다. 상고비용은 피고가 부담한다.

[이 유]                                                                                                                                                                                        상고이유(상고이유서 제출기간이 지난 후에 제출된 상고이유보충서의 기재는 상고이유를 보충하는 범위 내에서)를 판단한다.                                                                                                                                                                                            1. 상고이유 제1점에 관하여                                                                                                                                                      2. 상고이유 제2점에 관하여                                                                                                                                                      3. 상고이유 제3점에 관하여                                                                                                                                                      4. 결론                                                                                                                                                                                      그러므로 상고를 모두 기각하고, 상고비용은 패소자가 부담하도록 하여, 관여 대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김재형(재판장) 민유숙 이동원(주심) 노태악     

                     

죽제권척제작

                    

                           

 

 

조상땅찾기 분배농지

2017. 12. 25. 23:07 | Posted by 조인스랜드_박성래

농지개혁법때 작성된 상환대장은 일반분배농지상환대장과  귀속분배농지상환대장. 이렇게 있더군요?

귀속분배농지 상환대장의 작성시기는 언제인지요?
일반분배농지 상환대장과 함께 작성된 시기가 같은지요?
수배자가 일반농지와 귀속농지 모두 분배를 받을수있었는지요?
아버지와 아들이 각자 명의로 농지를 분배 받을수있었는지요?

 

 

 

농지개혁

2010. 7. 31. 16:50 | Posted by 조인스랜드_박성래
농지개혁으로 직접 경작하지 않은 토지는 소작인에게 분배되었으며,분배대상에서 제외된 전.답.임야는 부동산특별조치법으로 본인.상속인의 의사와 무관하게 타인에게 이전되었을 가능성이 많습니다.특조법으로 이전된 토지는 당시 지정보증인을 찾아 소송시 법정에서 보증 내용을 번복하여야 승소 가능합니다.관련 지번의 구대장,카드식대장,전산대장,등기부등본,폐쇄등기부등본,구등기부등본을 발급받아 분석하시면 됩니다.

      <부동산특별조치법 연혁>

2006.1.1~2007.12.31(법률 제7500호,제8080호)부동산 일반
1993.1.1~1994.12.31(법률 제 4502호)부동산 일반
1983.6.30~1991.12.31(법률 제3627호,제4042호)수복지역
1978.3.1~1984.12.31(법률 제3094호,제3159호,제3562호)부동산 일반
1969.6.30~1971.12.19(법률 제2111호,제2204호)임야
1964.9.17~1965.6.30(법률 제1657호,제1670호)농지
1961.5.5~1965.6.30(법률 제613호)분배농지



'findarea 질문 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조상땅찾기 토지브로커 방문  (0) 2010.07.31
조상땅 찾기 소작인  (0) 2010.07.31
조상 땅 찾기 문중토지  (0) 2010.07.31
임야조사부 사정인에 관한 내용  (0) 2010.07.31
조상땅 확인 방법  (0) 2010.07.31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