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로그 이미지
잃어버린 조상땅찾기에 유익한 정보를 제공하는 www.findarea.co.kr 관리자 블로그 입니다.
조인스랜드_박성래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최근에 받은 트랙백

글 보관함

calendar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조상땅찾기 절차 도로부지, 농어촌도로

2023. 4. 28. 23:58 | Posted by 조인스랜드_박성래
조상땅찾기 절차 도로부지, 농어촌도로

대법원 2021. 3. 11. 선고 2020다229239 판결                                                                                                                           [토지인도] [공2021상,752]                                                                                                                                                      [판시사항]                                                                                                                                                                               [1] 일반 공중의 통행에 공용된 도로의 통행을 방해함으로써 특정인의 통행의 자유를 침해한 경우, 민법상 불법행위에 해당하는지 여부(적극)                                                                                                                                                                  [2] 형법 제185조의 일반교통방해죄에서 말하는 '육로'의 의미 및 어떤 도로가 일반 공중의 통행에 공용된 도로에 해당하는 경우, 일반 공중의 자유로운 통행이 형법상 일반교통방해죄에 의해서도 보장되는지 여부(적극)                                            [3] 일반 공중의 통행에 공용되는 도로 부지의 소유자가 이를 점유.관리하는 지방자치단체를 상대로 도로의 철거, 점유 이전 또는 통행금지를 청구하는 것이 권리남용에 해당하는지 여부(원칙적 적극)

남산동- 광희문 일대(도판 8의 부분)

http://www.findarea.co.kr

 

조상땅찾기에 오신걸 환영합니다

조상땅찾기 전문, 상담, 조상땅조회, 토지조사부.

findarea.co.kr

[4] 갑 지방자치단체가 을 사찰로 출입하는 유일한 통행로로서 사찰의 승려, 신도, 탐방객 및 인근 주민들이 이용하고 있던 도로를 농어촌도로 정비법 제2조 제1항의 농어촌도로로 지정하고 30년 이상 관리하고 있었는데, 위 도로가 있는 임야를 임의경매절차에서 매수한 병이 갑 지방자치단체를 상대로 도로의 철거 및 인도를 구한 사안에서, 위 도로는 일반 공중의 통행에 공용되는 도로, 즉 공로에 해당한다고 봄이 타당하고, 병의 청구는 권리남용이라고 볼 여지가 큰데도, 이와 달리 본 원심판단에 법리오해의 잘못이 있다고 한 사례

김해군 주천면 망덕리 과세지견취도(1912년)

[참조조문]                                                                                                                                                                                [1] 민법 제750조 [2] 형법 제185조 [3] 민법 제2조 제2항, 제213조, 제214조 [4] 민법 제2조 제2항, 제213조, 제214조, 제750조, 농어촌도로 정비법 제2조 제1항, 제5조 제2항, 제6조, 제7조, 제8조, 제10조, 제18조, 형법 제185조                                [참조판례]                                                                                                                                                                                 [1] 대법원 2011. 10. 13. 선고 2010다63720 판결(공2011하, 2330)                                                                                          [2] 대법원 1988. 4. 25. 선고 88도18 판결(공1988, 929)                                                                                                          대법원 2002. 4. 26. 선고 2001도6903 판결(공2002상, 1310)                                                                                                  대법원 2019. 4. 23. 선고 2017도1056 판결                                                                                                                              [3] 대법원 1993. 9. 28. 선고 93다26076 판결(공1993하, 2968)

분도 12-1. 남대문로 주변(도판 17의 부분)

[전문]                                                                                                                                                                                        [원고, 피상고인]  원고                                                                                                                                                              [피고, 상고인]  김천시 (소송대리인 법무법인 포항종합법률사무소 담당변호사 이인구)                                                          [원심판결]  대구지법 2020. 4. 28. 선고 2019나303788 판결                                                                                                    [주 문]                                                                                                                                                                                        원심판결을 파기하고, 사건을 대구지방법원에 환송한다.                                                                                                         [이 유]                                                                                                                                                                                       상고이유를 판단한다.                                                                                                                                                            3. 결론                                                                                                                                                                                       그러므로 원심판결을 파기하고, 사건을 다시 심리.판단하게 하기 위하여 원심법원에 환송하기로 하여, 관여 대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안철상(재판장) 박상옥 노정희 김상환(주심)

 

 

 

주위토지통행권 조상땅찾기 통행방해 행위 금지

2023. 4. 19. 23:51 | Posted by 조인스랜드_박성래
주위토지통행권 조상땅찾기 통행방해 행위 금지                                                                  

대법원 2021. 3. 11. 선고 2020다280326 판결

[주위토지통행권확인] [미간행]


[판사사항]

[1] 일반 공중의 통행에 공용된 도로의 통행을 방해함으로써 특정인의 통행의 자유를 침해한 경우, 민법상 불법행위에 해당하는지 여부(적극) 및 이때  침해를 받은 자가 통행방해 행위의 금지를 소구할 수 있는지 여부(적극)                                                                                                [2] 형법 제185조의 일반교통방해죄에서 말하는 '육로'의 의미 및 어떤 도로가 일반 공중의 통행에 공용된 도로에 해당하는 경우, 일반 공중의 자유로운 통행이 형법상 일반교통방해죄에 의해서도 보장되는지 여부(적극)                                                                                                      [3] 어떤 도로가 일반 공중의 자유로운 통행이 보장된 공로인 경우, 공로에 이미 연결되어 있는 토지의 소유자에게 그 공로의 통행을 위하여 민법 제219조의 주위토지통행권을 인정할 필요가 있는지 여부(소극)

한양도 목판채색도 . 고본1770년

http://www.findarea.co.kr

 

조상땅찾기에 오신걸 환영합니다

조상땅찾기 전문, 상담, 조상땅조회, 토지조사부.

findarea.co.kr

[4] 갑 지방자치단체가 을 사찰로 출입하는 유일한 통행로로서 사찰의 승려, 신도, 탐방객 및 인근 주민들이 이용하고 있던 도로를 농어촌도로 정비법 제2조 제1항의 농어촌도로로 지정하고 30년 이상 관리하고 있었는데, 위 도로가 있는 임야를 임의경매절차에서 매수한 병이 불특정 다수인의 통행을 제한하려고 하자 을 사찰이 병을 상대로 통행권 확인 및 통행방해 금지를 구한 사안에서, 위 도로는 일반 공중의 통행에 제공된 공로에 해당한다고 봄이 타당하고, 위 도로 자체가 공로인 이상 을 사찰은 일상생활상 필요한 범위 내에서 도로를 자유로이 통행하는 것이 보장되며, 주위토지통행권이 인정될 필요는 없다고 한 사례

경조오부도 필사본. 김정호 1860년대

[참조조문]                                                                                                                                                                                                            [1]  민법 제750조 [2] 형법 제185조 [3] 민법 제219조 [4] 민법 제219조, 민법 제750조, 농어촌도로 정비법 제2조 제1항, 형법 제185조              [참조판례]                                                                                                                                                                                                              [1] 대법원 2011. 10. 13. 선고 2010다63720 판결(공2011하, 2330)                                                                                                                      [2] 대법원 1988. 4. 25. 선고 88도18 판결(공1988,929)                                                                                                                                        대법원 2002. 4. 26. 선고 2001도6903 판결(공2002상, 1310)                                                                                                                              대법원 2019. 4. 23. 선고 2017도1056 판결

사산금표도  목판본 1765년

[전 문]                                                                                                                                                                                                                   [원고, 피상고인]  대한불교조계종 ○○사 (소송대리인 법무법인 포항종합법률사무소 담당변호사 이인구)                                                            [피고, 상고인]  피고                                                                                                                                                                                                [원심판결]  대구지법 2020. 10. 14. 선고 2019나325542 판결                                                                                                                              [주 문]                                                                                                                                                                                                                    상고를 기각한다. 상고비용은 피고가 부담한다.                                                                                                                                                    1. 관련 규정과 법리                                                                                                                                                                                                가. 불특정 다수인인 일반 공중의 통행에 공용된 도로, 즉 공로를 통행하고자 라는 자는 그 도로에 관하여 다른 사람이 가지는 권리 등을 침해한다는 등의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일상생활상 필요한 범위 내에서 다른 사람들과 같은 방법으로 그 도로를 통행할 자유가 있고, 제3자가 특정인에 대하여만 그 도로의 통행을 방해함으로써 일상생활에 지장을 받게 하는 등의 방법으로 그 특정인의 통행의 자유를 침해하였다면 민법상 불법행위에 해당하며, 그 침해를 받은 자로서는 그 방해의 배제나 장래에 생길 방해를 예방하기 위하여 통행방해 행위의 금지를 소구할 수 있다(대법원 2011. 10. 13. 선고 2010다63720 판결 등 참조).

3. 결론                                                                                                                                                                                                                    그러므로 피고의 상고는 이유 없어 이를 기각하고, 상고비용은 패소자가 부담하도록 하여, 관여 대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안철상(재판장) 박상옥 노정희 김상환(주심)

도성삼군문분계지도  목판채색도

 

농지분배 조상땅찾기 분배농지 손해배상

2022. 12. 22. 18:53 | Posted by 조인스랜드_박성래

대법원 2021. 4. 8. 선고 2020다219690 판결

[손해배상(기)] [공2021상,957]


농지분배 조상땅찾기 분배농지 손해배상

[판사사항]                                                                                                                                                                                 [1] 확정판결의 기판력이 미치는 범위                                                                                                                                        [2] 갑 등 망닌들이 국가를 상대로 농지분배처분을 원인으로 하는 소유권이전등기청구소송을 제기하였다가 패소판결이 선고되고 확정되었는데, 그 후 갑 등의 상속인들인 을 등이 국가가 행한 일련의 불법행위 때문에 분배농지에 관한 수분배권을 상실하였다며 구가를 상대로 손해배상을 구한 사안에서, 을 등이 제기한 손해배상청구소송에서 문제 되는 농지분배처분 무효 내지 갑 등의 분배토지에 관한 수분배권 존부에는 위 확정판결의 기판력이 미치지 않는다고 한 사례            

   

경계점좌표등록부

 

http://www.findarea.co.kr

 

조상땅찾기에 오신걸 환영합니다

조상땅찾기 전문, 상담, 조상땅조회, 토지조사부.

findarea.co.kr

 

[판결요지]                                                                                                                                                                                 [1] 확정판결의 기판력은 소송물로 주장된 법률관계의 존부에 관한 판단의 결온에만 미치고 그 전제가 더ㅣ는 법률관계의 존부에까지 미치는 것이 아니다.                                                                                                                                              [2] 갑 등 망인들이 국가를 상대로 농지분배처분을 원인으로 하는 소유권이전등기청구소송을 제기하였다가 패소판결이 선고되어 확정되었는데, 그 후 갑 등의 상속인들인 을 등이 국가가 행한 일련의 불법행위 때문에 분배농지에 관한 수분배권을 상실하였다며 국가를 상대로 손해배상을 구한 사안에서, 

분쟁지 조사

 

위 확정판결의 기판력이 미치는 법률관계는 갑 등의 국가에 대한 소유권이전등기청구권의 존부에 한정되고, 을 등이 제기한 손해배상청구소송에서 문제 되는 농지분배처분 무효 내지 갑 등의 분배토지에 관ㅘㄴ 수분배권 존부는 그 전제    가 되는 법률관계에 불과하여 위 확정판결의 기판력이 미치지 않는다고 한 사례                       

지위등급 조사

 

[참조조문]                                                                                                                                                                               [1] 민사소송법 제216조 제1항 [2] 민사소송법 제216조 제1항

[참조판례]                                                                                                                                                                                [1] 대법원 2002. 12. 27. 선고 2000다47361 판결(공2003상, 495)                                                                                            대법원 2005. 12. 23. 선고 2004다55698 판결(공2006상, 169)                                                                                                대법원 2009. 3. 12. 선고 2008다36022 판결

 

지적도(폐쇄)

                       

[전 문]

[원고, 피상고인]  원고 1 외 55인 (소송대리인 변호사 이찬진 외 4인)

[원고 1 승계참가인]  원고 1의 승계참가인 1 외 7인 (소송대리인 변호사 이찬진 외 1인)

[피고, 상고인]  대한민국 (소송대리인 정부법무공단 담당변호사 이재형 외 2인)

[원심판결] 서울고법 2020. 2. 7. 선고 2018나2036456 판결

 

지형도 축도작업(사진제판)

[주 문]                                                                                                                                                                                        상고를 모두 기각한다. 상고비용은 피고가 부담한다.

[이 유]                                                                                                                                                                                        상고이유(상고이유서 제출기간이 지난 후에 제출된 상고이유보충서의 기재는 상고이유를 보충하는 범위 내에서)를 판단한다.                                                                                                                                                                                            1. 상고이유 제1점에 관하여                                                                                                                                                      2. 상고이유 제2점에 관하여                                                                                                                                                      3. 상고이유 제3점에 관하여                                                                                                                                                      4. 결론                                                                                                                                                                                      그러므로 상고를 모두 기각하고, 상고비용은 패소자가 부담하도록 하여, 관여 대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김재형(재판장) 민유숙 이동원(주심) 노태악     

                     

죽제권척제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