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로그 이미지
잃어버린 조상땅찾기에 유익한 정보를 제공하는 www.findarea.co.kr 관리자 블로그 입니다.
조인스랜드_박성래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최근에 받은 트랙백

글 보관함

calendar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조선민사령<일부개정 1962.1.20 법률 999호>

2010. 1. 6. 10:39 | Posted by 조인스랜드_박성래
朝鮮民事令
[일부개정 1962.1.20 법률 999호]  최근개정법령은 한글보기일때만 가능합니다. 
조별연혁보기 

제1조 민사에 관한 사항은 본령 외의 법령에 특별히 정함이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다음 법률에 의한다. <개정 1922.3.9, 1922.12.7, 1929.5.7, 1931.6.9, 1933.12.28, 1935.8.2, 1936.12.28, 1936.12.28, 1939.8.30, 1958.7.12>

1. 민법

2. 1902년 법률 제50호

3. 1904년 법률 제17호

3의2. 1933년 법률 제42호

4. 1899년 법률 제40호

5. 1900년 법률 제51호

6. 1900년 법률 제13호

7. 민법시행법

7의2. 삭제 <1961.12.30>

8. 상법

8의2. 어음법

8의3. 수표법

8의4. 유한회사법

9. 1900년 법률 제17호

10. 상법시행령

10의2. 상법중개정법률시행법

11. 파산법

12. 화의법

13. 민사소송법

13의2. 민사소송법중개정법률시행법

14. 외국재판소의 위탁에 의한 공조법

14의2. 일만(日滿)사법사무공조법

15. 삭제 <1958.7.12>

16. 삭제 <1922.12.7>

17. 인사소송수속법

18. 삭제 <1962.1.20>

19. 민사소송비용법

19의2. 민사소송용인지법

20. 삭제 <1961.12.23>

21. 집달리수수료규칙

22. 경매법

23. 1899년 법률 제67호

조별연혁보기 

제2조 전조의 법률 중 칙령에 위임하는 사항은 조선총독부령으로 정한다.

조별연혁보기 

제3조 제1조의 법률 중 주무관청에 속하는 직무는 조선총독, 공소원장에 속하는 직무는 복심법원장이, 지방재판소장에 속하는 직무는 지방법원장이 이를 행한다. <개정 1929.5.7>

조별연혁보기 

제4조 삭제 <1961.8.31>

조별연혁보기 

제5조 삭제 <1961.8.31>

조별연혁보기 

제6조 삭제 <1961.8.31>

조별연혁보기 

제7조 삭제 <1961.8.31>

조별연혁보기 

제8조 제1조의 법률 적용에 대하여는 부·현은 도에, 군은 군에, 시는 부에, 정·촌은 읍·면에 해당한다. <개정 1929.5.7, 1933.12.28>

조별연혁보기 

제9조 제1조의 법률 중 관보에 게재하기 위하여 행하는 공고는 공시최고수속 및 실종에 관한 사항에 대하여는 관보 및 조선총독부 관보로 하고 기타 사항에 대하여는 조선총독부 관보에 한다. <개정 1918.6.11>

조별연혁보기 

제10조 조선인 상호간의 법률행위에 대하여는 법령 중 공공질서에 관한 규정과 다른 관습이 있는 경우에 있어서는 그 관습에 의한다.

조별연혁보기 

제11조 ①조선인의 친족 및 상속에 관하여는 별도의 규정이 있는 것을 제외하고, 제1조의 법률에 의하지 아니하고 관습에 의한다. 다만, 성, 혼인연령·재판상의 이혼·인지, 재판상의 이연, 서양자결연의 경우에 있어서 혼인 또는 결연이 무효가 되는 때 또는 취소되는 때의 결연 또는 혼인의 취소·친권·후견·보좌인·친족회·상속의 승인 및 재산의 분리에 관한 규정은 그러하지 아니하다. <개정 1939.11.10>

②분가·절가재흥(絶家再興)·혼인·협의이혼·결연 및 협의이연은 부윤 또는 읍·면장에게 신고함으로써 그 효력을 발생한다. 다만, 유언에 의한 결연신고는 양부모가 사망한 때부터 효력을 발생한다. <개정 1933.12.28>

③성은 호주(법정대리인이 있는 때에는 법정대리인)가 이를 정한다. <신설 1939.11.10>

[전문개정 1922.12.7]

조별연혁보기 

제11조의2 ①조선인의 양자결연에 있어서 양자는 양부모와 성을 같이하지 아니하여도 된다. 다만, 사후양자의 경우에 있어서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②서양자결연은 양자결연의 신고와 동시에 혼인신고를 함으로써 효력을 발생한다.

③서양자는 처가에 입적한다.

④서양자이연 또는 결연취소에 의하여 가를 떠나더라도 가녀의 직계비속은 그 가를 떠나지 아니하며, 태아가 생긴 때에는 그 가에 입적한다.

[본조신설 1939.11.10]

[종전 제11조의2는 제11조의3으로 이동<1939.11.10>]

조별연혁보기 

제11조의3 조선인의 호적에 관하여는 후8조의 규정에 의한다. <개정 1940.12.29>

[본조신설 1922.12.7]

[제11조의2에서 이동, 종전 제11조의3는 제11조의4로 이동<1939.11.10>]

조별연혁보기 

제11조의4 삭제 <1960.1.1>

조별연혁보기 

제11조의5 삭제 <1960.1.1>

조별연혁보기 

제11조의6 삭제 <1960.1.1>

조별연혁보기 

제11조의7 삭제 <1960.1.1>

조별연혁보기 

제11조의8 삭제 <1960.1.1>

조별연혁보기 

제11조의9 삭제 <1960.1.1>

조별연혁보기 

제11조의10 삭제 <1960.1.1>

조별연혁보기 

제11조의11 삭제 <1960.1.1>

조별연혁보기 

제12조 부동산에 관한 물권(物權)의 종류 및 효력에 대하여는 제1조의 법률에 정하는 물권을 제외하고 관습에 의한다.

조별연혁보기 

제13조 부동산에 관한 물권의 취득, 상실 및 변경에 대한 조선부동산등기령에 있어서 등기의 규정을 설정하는 것은 그 등기 또는 증명을 받은 것이 아니고는 이를 제3자에 대항하지 못한다. <개정 1929.5.7>

조별연혁보기 

제14조 조선부동산증명령에 의하여 증명을 받은 전당권은 제1조의 법률 적용에 있어서는 그 성질에 따라 이를 부동산질권 또는 저당권으로 보며, 조선부동산증명령에 의하여 부동산질권 또는 저당권으로 등기를 받은 것 또한 같다.

조별연혁보기 

제15조 민법 제49조의 규정은 조선 외에 주소를 가진 법인이 조선에 사무소를 설립하는 경우에 이를 준용한다.

조별연혁보기 

제15조의2 내지·대만·관동주·남양군도 또는 조선총독이 지정하는 아세아주 지역에서 발행하여 조선에서 지불하여야 하는 수표의 제시기간은 조선총독이 정하는 바에 따라 연장할 수 있다. <개정 1943.6.9>

[본조신설 1933.12.28]

조별연혁보기 

제16조 ①지방법원에서 합의하여 재판을 하여야 하는 사건에 대하여는 제1조의 법률 중 그 사건에 대하여 정해진 지방재판소의 재판수속에 관한 규정을 준용하며, 기타 사건에 대하여는 구(區)재판소의 재판수속에 관한 규정 및 비송사건수속법 중 지방재판소에 관한 규정을 준용한다.

②전항 외에 구(區)재판소 또는 지방재판소에 관한 규정은 이를 지방법원에, 구(區)재판소의 판사에 관한 규정은 이를 지방법원의 판사에 준용한다.

조별연혁보기 

제17조 지방법원 판사는 사건이 조선총독부재판소령 제4조제1항의 단서조항에 해당하는 것으로 인정되는 때에는 결정을 하여 그 사건을 합의부에 이송하여야 한다.

조별연혁보기 

제18조 ①조선총독부재판소령 제4조제1항제1호의 소송물의 가액은 소송으로 주장하는 이익에 의하여 산정한다.

②전항의 가액을 산정할 수 없는 경우에는 그 가액이 1000원을 초과하는 것으로 본다.

[전문개정 1929.5.7]

조별연혁보기 

제19조 검사는 민사사건에 대하여 필요하다고 인정되는 때에는 재판소의 통지를 요구하여 의견을 진술할 수 있다.

조별연혁보기 

제20조 재판소 또는 재판장이 직권으로 소송대리인 또는 소송의 승계인을 선정하여야할 경우에 있어서는 변호사가 아닌 자로 이를 충당할 수 있다.

조별연혁보기 

제21조 ①당사자는 합의재판소에 있어서도 허가를 받아 변호사가 아닌 자를 소송대리인으로 할 수 있다.

②전항의 허가는 언제든지 취소할 수 있다.

[전문개정 1929.5.7]

조별연혁보기 

제22조 삭제 <1929.5.7>

조별연혁보기 

제23조 삭제 <1929.5.7>

조별연혁보기 

제24조 재판소 서기가 청 내에서 송달을 받는 자에게 서류를 교부하고 수취증을 받은 때에는 송달을 행한 것과 동일한 효력을 갖는다.

조별연혁보기 

제25조 삭제 <1938.5.31>

조별연혁보기 

제26조 소송관계인이 재판장이 정하는 기일에 출두하여야 하는 취지를 기재한 서면을 차출한 때에는 기일 호출을 행한 것과 동일한 효력을 발생한다.

조별연혁보기 

제27조 삭제 <1929.5.7>

조별연혁보기 

제28조 민사소송법 제236조제5항 및 제6항의 규정은 적용하지 아니한다.

[본조신설 1938.5.31]

조별연혁보기 

제29조 ①당사자 쌍방이 구두변론 기일에 출두하지 아니하거나 또는 출두하더라도 변론을 하지 아니한 때에는 재판장이 다시 기일을 정하여 당사자 쌍방을 호출하여야 한다.

②전항의 다시정한 기일 또는 그 후의 기일에 당사자 쌍방이 출두하지 아니하거나 또는 출두하더라도 변론을 하지 아니한 때에는 소송을 취하한 것으로 본다.

③당사자가 그 책임에 귀속하지 아니하는 사유로 인하여 전항의 기일에 출두할 수 없는 경우에는 그 사유가 끝난 후 1주일 내에 한하여 기일지정을 신청할 수 있다.

④전3항의 규정은 준비수속 및 상소심소송수속에 준용한다. 다만, 상소심에 있어서는 상소를취하한 것으로 본다.

[전문개정 1929.5.7]

조별연혁보기 

제30조 삭제 <1929.5.7>

조별연혁보기 

제31조 삭제 <1929.5.7>

조별연혁보기 

제32조 재판소의 개정에 관하여는 재판소구성법 제104조 내지 제113조의 규정에 의한다.

조별연혁보기 

제33조 재판소의 통역관·통역생 또는 서기를 통역사로 한 경우에는 선서를 요하지 아니한다.

[전문개정 1929.5.7]

조별연혁보기 

제34조 지방법원에서 판사단독으로 재판을 행하는 사건에 대하여 원고 또는 피고가 처음의 구두변론 기일에 출두하지 아니하거나 출두하더라도 변론을 하지 아니하는 때에는 출두한 당사자의 진술을 청취하여 결석재판으로써 상대방의 패소를 언도할 수 있다.

[전문개정 1929.5.7]

조별연혁보기 

제35조 결석재판의 언도는 구두변론 종결 후 즉시 행하는 경우에 한하여 주문을 작성하기전이더라도 행할 수 있다.

[전문개정 1929.5.7]

조별연혁보기 

제36조 ①결석판결에 대하여는 결석자가 이의신청을 할 수 있다.

②이의신청은 판결을 송달한 날로부터 1주일 이내에 하여야 한다. 다만, 그 기간 전에 신청한이의의 효력을 방해하지 못한다.

③전항의 기간은 불변기간으로 한다.

[전문개정 1929.5.7]

조별연혁보기 

제37조 ①이의신청은 이의신청서를 결석판결을 행하는 재판소에 제출하여 행하여야 한다.

②이의신청서에는 다음 사항을 기재하여야 한다.

1. 당사자 및 법정대리인

2. 결석판결의 표시 및 그 판결에 대하여 장애신청을 하는 취지

[전문개정 1929.5.7]

조별연혁보기 

제38조 민사소송법 제228조의 규정은 이의신청서에 준용한다.

[본조신설 1929.5.7]

조별연혁보기 

제38조의2 ①부적법한 이의로 그 흠결이 보정될 수 없는 경우에는 결정으로 이를 각하할 수있다.

②전항의 결정에 대하여는 즉시 항고할 수 있다.

[본조신설 1929.5.7]

조별연혁보기 

제38조의3 전2조의 경우를 제외하고 재판소는 이의신청서를 상대방에게 송달함과 동시에 이의에 대한 구두변론 기일을 정하여 당사자 쌍방을 호출하여야 한다.

[본조신설 1929.5.7]

조별연혁보기 

제38조의4 ①이의신청의 원고 또는 피고가 전조의 구두변론 기일에 출두하지 아니하거나 출두하더라도 변론을 하지 아니한 때에는 이의를 취하한 것으로 본다.

②제29조제3항의 규정은 이의신청의 원고 또는 피고가 그 책임에 귀속하지 아니하는 사유로인하여 전항의 기일에 출두할 수 없는 경우에 준용한다.

[본조신설 1929.5.7]

조별연혁보기 

제38조의5 ①적법한 이의신청이 있는 때의 소송은 결석 전의 정도로 복귀한다.

②제34조의 규정은 전항의 규정에 의하여 결석 전의 정도로 복귀하는 소송에는 적용하지 아니한다.

[본조신설 1929.5.7]

조별연혁보기 

제38조의6 이의 후에 행하여야 하는 판결이 결석판결에 부합하는 때에는 결석판결을 유지하고, 부합하지 아니하는 때에는 결석판결을 폐기하여야 한다.

[본조신설 1929.5.7]

조별연혁보기 

제38조의7 공소권의 포기 및 공소취하에 관한 규정은 이의를 행하는 권리의 포기 및 이의취하에 준용한다.

[본조신설 1929.5.7]

조별연혁보기 

제38조의8 결석판결에 대하여는 결석자가 공소하여 불복을 신청하지 못한다.

[본조신설 1929.5.7]

조별연혁보기 

제38조의9 민사소송법 제500조의 규정은 가집행선언이 따르는 결석판결에 대한 이의신청의 경우에 준용한다.

[본조신설 1929.5.7]

조별연혁보기 

제39조 당사자는 증인·감정인·통역사 또는 당사자 본인을 심문하여야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재판장에게 심문을 청구하여야 한다.

[전문개정 1929.5.7]

조별연혁보기 

제40조 수명판사 또는 수탁판사는 검증을 행함에 있어서 필요하다고 인정되는 때에는 증인을 심문할 수 있다.

[전문개정 1929.5.7]

조별연혁보기 

제41조 조선총독이 증인이 되는 때에는 현지를 관할하는 재판소에서 심문하여야 한다.

[전문개정 1929.5.7]

조별연혁보기 

제42조 삭제 <1929.5.7>

조별연혁보기 

제43조 삭제 <1929.5.7>

조별연혁보기 

제44조 ①재산권상의 청구에 관한 판결에서 공소에 의하여 받는 이익의 가액이 金 5千圓을 초과하니 아니하는 경우에는 재심의 사유가 없는 때에는 공소하지 못한다. <개정 1948.4.10>

②전항의 규정은 소송의 목적가액이 金 5千圓을 초과하는 사건에 있어서 재판소가 소송의 1부에서 행하는 판결에 적용한다.

③제1항의 가액은 공소제기 시점을 표준으로 하여 정한다.

④공소심에 있어서 확장청구의 가액은 제1항의 가액에 산입하지 아니한다.

⑤제1항의 가액을 산정할 수 없는 경우에는 그 가액은 金 5千圓을 초과하는 것으로 본다. <개정 1948.4.10>

⑥민사소송법 제23조제1항의 규정은 제1항의 가액산정에 준용한다.

⑦과실·손해배상·위약금 또는 비용의 청구가 소송의 부대목적이 되는 때에는 공소제기 시까지 발생하는 것에 한하여 그 가액을 제1항 및 제2항의 가액에 산입한다.

[전문개정 1929.5.7]

조별연혁보기 

제45조 피공소인은 부대공소에 의하여 받는 이익의 가액이 金 5千圓을 초과하지 아니하는 경우에도 부대공소를 행할 수 있다. <개정 1948.4.10>

[전문개정 1929.5.7]

조별연혁보기 

제46조 공소 제기는 공소장을 원 재판소에 제출하여 이를 행한다.

조별연혁보기 

제47조 ①공소장이 민사소송법 제367조제2항의 규정에 위배되는 경우 및 법령의 규정에 따라 공소장에 인지를 첩부하지 아니한 경우에는 원재판소는 상당하는 기간을 정하여 그 기간 내에 흠결을 보정하도록 명할 수 있다.

②공소인이 흠결의 보정을 행하지 아니하는 경우에는 원재판소는 결정으로 공소장을 각하하여야한다.

③부적법한 공소로 그 흠결을 보정할 수 없는 경우에는 원재판소는 결정으로 이를 각하할 수 있다.

④전2항의 결정에 대하여는 즉시 항고할 수 있다.

⑤공소장의 각하결정에 대한 항고장에는 그 공소장을 첨부하여야 한다.

[전문개정 1929.5.7]

조별연혁보기 

제48조 삭제 <1929.5.7>

조별연혁보기 

제49조 삭제 <1929.5.7>

조별연혁보기 

제50조 민사소송법 제412조제3항의 적용에 대하여는 대심원은 고등법원에 해당한다. <개정 1929.5.7>

조별연혁보기 

제51조 제44조 내지 제47조의 규정은 상고에 준용한다.

조별연혁보기 

제52조 삭제 <1929.5.7>

조별연혁보기 

제53조 삭제 <1929.5.7>

조별연혁보기 

제54조 삭제 <1929.5.7>

조별연혁보기 

제55조 ①민사소송법 제643조제1항제2호의 증서는 다음 서면의 1로서 충당한다. <개정 1934.4.30>

1. 부동산증명부에 채무자 소유로 기재되어 있는 부동산에 대하여는 증명관의 인증이 되어있는 증명부 사본.

2. 부동산증명부에 기재되지 아니한 토지에 대하여는 세무서장,물건에 대하여는 부윤 또는 군수가 채무자 소유임을 증명하는 서면.

②동조 제1항제3호 및 제4호의 증서는 다음 서면으로 이를 대신할 수 있다. <개정 1934.4.30>

1. 토지에 대하여는 세무서장이 그 소재지 명, 부지번호(자호(字號)·사표(四標) 등), 종목, 면적(반별·평수 또는 두락·도수 등), 가액 및 그 토지에 대하여 납부하여야 하는 1년의 공과금을 증명하는 서면.

2. 건물에 대하여는 부윤 또는 군수가 그 소재지명, 부지번호(자호·사표 등), 호 번지, 종류, 구조, 건평, 가액 및 그 건물에 대하여 납부하여야 하는 1년의 공과금을 증명하는 서면.

③전항의 서면에는 그 토지 또는 건물의 도면을 첨부하여야 한다.

조별연혁보기 

제56조 부동산에 대한 강제집행에 대하여는 부동산증명부에 기재되어 있는 전당권자는 이를 등기부에 기입되어 있는 부동산상 권리자로 본다.

조별연혁보기 

제57조 민사소송법 제651조 내지 제653조, 제655조, 제689조제1항, 제690조, 제700조, 제706조, 제716조제4항, 제751조 및 제758조제3항의 적용에 대하여는 부동산증명부는 등기부에, 증명은 등기에, 증명관은 등기판사에 준한다.

조별연혁보기 

제58조 삭제 <1938.5.31>

조별연혁보기 

제59조 삭제 <1941.4.21>

조별연혁보기 

제60조 삭제 <1941.4.21>

조별연혁보기 

제61조 삭제 <1941.4.21>

조별연혁보기 

제62조 ①교통지난의 지역에 있는 부동산의 강제경매에 대하여는 재판소는 개시 결정의 송달 및 민사소송법제651조제1항의 규정에 의하여 수속을 행한 후 부동산 소재지를 관할하는 군수에게 집행기록을 송부하여 그 후의 수속을 위탁할 수 있다. 다만, 경매수속을 취소한 재판 및 배당이의 소송에 대한 재판은 그러하지 아니하다.

②전항의 위탁의 경우에 있어서는 후의 9조의 규정에 의하는 외에 통상적인 수속에 따른다.

조별연혁보기 

제63조 집행 재판소 및 배당 재판소에 속하는 직무는 군수가 이를 행한다.

조별연혁보기 

제64조 ①군수는 민사소송법 제653조 및 제656조의 규정에 의하여 경매수속을 취소하여야 한다고 인정되는 때에는 집행기록을 재판소에 반환하여야 한다.

②재판소, 배당이의의 소송을 수리할 때에는 군수에게 통지하여 집행기록의 송부를 청구하여야 한다.

조별연혁보기 

제65조 집달리의 직무를 수행하여야 하는 자는 군수가 그 청의 관원 중에서 이를 임명한다.

조별연혁보기 

제66조 경매, 경락, 대금지불 및 배당기일은 군청에서 개최한다.

조별연혁보기 

제67조 경매기일의 공고는 군청의 게시판 및 적당한 장소에, 기타 공고는 군청의 게시판에 게시하여 이를 행한다.

조별연혁보기 

제68조 민사소송법 제668조의 규정에 의하여 재판소 서기에게 전달하여야 하는 조서, 금전 또는 유가증권은 이를 군수에게 전달하여야 한다.

조별연혁보기 

제69조 민사소송법 제669조의 적용에 대하여는 집행재판소의 소재지는 군청의 소재지에 해당한다.

조별연혁보기 

제70조 ①민사소송법 제680조의 항고에 대하여는 위탁을 행하는 재판소를 항고재판소로 한다.

②전항의 항고 재판소의 재판에 대한 항고에 대하여는 복심(覆審)법원을 종심(終審)으로 한다.

조별연혁보기 

제71조 집행수속을 완결한 때에는 군수는 집행기록을 재판소에 반환하여야 한다.

조별연혁보기 

제72조 제55조 내지 제57조 및 제62조 내지 제71조의 규정은 부동산을 임의 경매에 이를 준용한다. <개정 1922.12.7, 1938.5.31, 1941.4.21>

조별연혁보기 

제73조 ①인사소송절차법 제10조 및 제11조의 규정은 인사에 관한 소송으로 인사소송절차법에 규정이 없는 사항에 대하여 준용한다. <개정 1922.12.7>

②전항의 소송에 대하여는 재판소는 당사자가 제출하지 아니한 사실이라 할지라도 이를 참작할 수 있다.

조별연혁보기 

제74조 검사는 전조의 소송에 대하여 사실 및 증거방법을 제출할 수 있다.

조별연혁보기 

제75조 비송사건수속법 중 외국회사 및 외국법인의 등기에 관한 규정은 조선 외에 주소가 있는 회사 기타 법인이 조선에 지점 또는 사무소를 설립하는 경우에 이를 준용한다.

조별연혁보기 

제76조 민사소송비용법 제14조의 규정은 재판소의 통역관 및 통역생이 검증을 위한 실지 임검을 행사는 경우에 있어서의 여비 및 체재비에 이를 준용한다.

조별연혁보기 

제76조의2 경성부에서는 이 영 중 부윤은 구장, 부청은 구역소로 한다.

[본조신설 1943.6.9]


부칙연혁보기            부칙 <제7호,1912.3.18>

제77조 이 영은 1912년 4월 1일부터 시행한다.

제78조 다음 법령은 폐지한다.

1. 총감부재판소사법사무취급령

2. 1909년 칙령 제238호

3. 어음소송규칙

4. 민·형사소송규칙

5. 민사소송기한규칙

6. 민사소송비용규칙

7. 1909년 법률 제15호

8. 비송사건소속규칙

제79조 이 영 시행 전에 법령에 의하여 행하는 재판·명령·처분·수속 기타 행위는 이 영에 의하여 행하는 것으로 본다.

제80조 이 영 시행 전에 이미 명확하게 드러난 강제집행은 구법에 따라 완결한다.

제81조 이 영 시행 전에 발생한 사항에 대하여는 조선인 외에 관계자가 없는 경우에 한하여 민법시행법 및 상법시행 중 민법 및 상법의 시행 전에 발행한 사항에 관한 규정을 준용하며, 그 규정에 의한 구법을 적용하여야 하는 경우에 있어서는 조선의 종래의 예에 의한다.

제82조 삭제 <1929.5.7>

부칙연혁보기            부칙 <제8호,1918.6.11>

이 영은 공포일부터 시행한다.

부칙연혁보기            부칙 <제14호,1921.11.14>

①이 영은 1921년 12월 1일부터 시행한다.

②이 영 시행 전에 발생한 사건에 대하여는 민법시행법 및 상법시행법 중 무능력자, 친권, 후견 및 보좌인에 관한 규정에 준용하며, 그 규정에 의하여 구법을 적용하여야 하는 경우에 있어서는 조선의 종래의 예에 의한다.

③이 영 시행 전에 독립하여 상업을 영위하는 미성년자는 본령 시행일부터 그 상업에 관하여 성년자와 동일한 능력을 갖는다.

부칙연혁보기            부칙 <제1호,1922.3.9>

①이 영은 1922년 4월 1일부터 시행한다.

②조선민사소송인지령은 폐지한다.

부칙연혁보기            부칙 <제13호,1922.12.7>

①이 영 시행 기일은 각 조에 대하여 조선총독이 정한다.

②이 영 시행 전에 발생하는 사항은 민법시행령 중 이혼·상속의 승인 및 재산의 분리에 관한규정을 준용한다.

부칙연혁보기            부칙 <제6호,1929.5.7>

①이 영의 시행기일은 조선총독이 정한다.

②이 영 시행 전에 발생하는 사항에 대하여는 민사소송법중개정법률시행법을 준용하고 그 규정에 따라 구법을 적용하여야 하는 경우에는 조선에서의 종래의 예에 의한다.

③이 영 시행 당시 계속되는 소송에 언도하는 판결은 상소에 의하여 받는 이익의 가액이 50원을 초과하지 아니하는 경우에도 상소할 수 있다.

부칙연혁보기            부칙 <제9호,1931.6.9>

이 영의 시행기일은 조선총독이 정한다.

부칙연혁보기            부칙 <제23호,1933.12.28>

이 영의 시행기일은 조선총독이 정한다.

부칙연혁보기            부칙 <제14호,1934.4.30>

①이 영은 1934년 5월 1일부터 시행한다.

②이 영 시행 전, 종전의 규정에 의하여 토지에 대하여 부윤 또는 군수가 발행한 증명은 이 영에 의하여 세무서장이 발행한 것으로 본다.

부칙연혁보기            부칙 <제10호,1935.8.2>

이 영은 공포일부터 시행한다.

부칙연혁보기            부칙 <제17호,1936.12.28>

이 영은 공포일부터 시행한다.

부칙연혁보기            부칙 <제17호,1938.4.28>

이 영은 1938년 5월 1일부터 시행한다.

부칙연혁보기            부칙 <제21호,1938.5.31>

이 영은 1938년 6월 1일부터 시행한다.

부칙연혁보기            부칙 <제11호,1939.8.30>

이 영은 1940년 1월 1일부터 시행한다.

부칙연혁보기            부칙 <제19호,1939.11.10>

①이 영의 시행기일은 조선총독이 정한다.

②조선인 호주(법정대리인이 있는 때에는 법정대리인)는 이 영 시행 후 6월 이내에 새로이 성을 정하여 부윤 또는 읍·면장에게 신고하여야 한다.

③전항의 규정에 의한 신고를 하지 아니하는 때에는 이 영 시행 당시의 호주의 성을 따른다. 다만, 일가를 창립하지 아니하는 여자호주인 때 또는 호주의 상속인이 분명하지 아니한 때에는 이전의 남자호주의 성을 따른다.

부칙연혁보기            부칙 <제47호,1940.12.29>

이 영은 공포일부터 시행한다.

부칙연혁보기            부칙 <제20호,1941.4.21>

이 영은 공포일부터 시행한다.

부칙연혁보기            부칙(조선민사령등중개정의건) <제30호,1943.6.9>

이 영은 1943년 6월 10일부터 시행한다.

부칙연혁보기            부칙(전시특례에관한법령의폐지급관계법령의개정) <제181호,1948.4.10>

第5條 本 令은 公布日 後 30日부터 效力이 生함.

부칙연혁보기            附則(외국인의서명날인에관한법률) <제488호,1958.7.12>

本法은 公布한 날로 부터 이를 施行한다.

朝鮮民事令 第1條第15號는 이를 削除한다.

부칙연혁보기            附則(호적법) <제535호,1960.1.1>

第136條 (假戶籍의 申告) ①단기4278年 8月 15日以前에 未收復地區에 本籍을 가진 者로서 未收復地區以南地域에서 居住하게 된 者는 本法에 依하여 假戶籍의 申告를 하여야 한다.

②前項의 申告 및 假戶籍에 關하여는 본법의 규정을 준용한다.

③未收復地區가 收復된 후 假戶籍의 기재사항과 原戶籍의 기재사항이 相異되는 때에는 原戶籍의 기재사항이 效力이 있다.

第137條 (定義) 부칙에서 舊法이라 함은 본법에 의하여 폐지되는 법령 또는 법령중의 조항을 말한다.

第138條 (舊法에 依한 戶籍) 舊法의 규정에 의한 戶籍 및 假戶籍은 이를 본법의 규정에 의한 戶籍 또는 假戶籍으로 본다.

第139條 (假戶籍申告의 方法) 본법 시행후 제136조에 依하여 假戶籍을 신고할 때에는 신고인은 그 原籍地의 管轄道知事의 確認을 얻어 신고서를 제출하여야 한다.

第140條 (本法 施行前의 申告) 본법 시행전의 신고 기타의 사유로 인하여 戶籍의 기재를 하거나 新戶籍을 編製하는 경우에는 舊法에 의한다.

第141條 (本法 施行直後의 假戶籍就籍義務) ①제136조의 규정에 의하여 假戶籍의 就籍을 하여야 할 자가 본법 시행당시 그 취적을 하지 아니한 경우에는 본법 시행후 6月이내에 제116조에 의하여 就籍을 하여야 한다.

②전항의 境遇에는 제139조의 規定을 준용한다.

③제1항의 就籍을 하지 아니한 자는 3萬환이하의 過怠料에 처한다.

第142條 (廢止法令) 다음 各號의 법령은 폐지한다.

1. 朝鮮民事令中 戶籍에 관한 규정

2. 朝鮮戶籍令

3. 戶籍臨時措置에관한軍政法令

4. 기타 본법에 저촉되는 호적에 관한 法條

第143條 (施行日) 본법은 단기4293년 1월 1일부터 시행한다.

부칙연혁보기            附則(집달리법) <제702호,1961.8.31>

第24條 (施行日) 本法은 公布한 날로부터 施行한다.

第25條 (經過規定) 本法 施行前에 執達吏가 그 職務上 行한 行爲는 本法에 依하여 한 것으로 看做한다.

第26條 (同前) 本法 施行前에 委任을 받고 未決中에 있는 事件은 從前의 例에 依하여 終結하여야 한다.

第27條 (同前) 本法 施行當時의 執達吏는 本法에 依하여 任命된 것으로 看做한다.

第28條 (舊法令廢止) 朝鮮民事令中 執達吏에 關한 規定은 이를 廢止한다.

부칙연혁보기            부칙 <제861호,1961.12.23>

本法은 公布한 날로부터 施行한다.

부칙연혁보기            附則(신탁법) <제900호,1961.12.30>

第1條 (施行日) 本法은 公布한 날로부터 施行한다.

第2條 (法令의 廢止) 朝鮮民事令第1條第7號의2는 이를 削除한다.

부칙연혁보기            附則(비송사건절차법) <제999호,1962.1.20>

①(施行日) 本法은 公布한 날로부터 施行한다.

②(廢止法令) 西紀 1912年 制令 第7號 朝鮮民事令 第1條第18號는 이를 廢止한다.

③(經過規定) 本法 施行日 現在로 法院에 係屬中인 事件은 本法에 依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