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특별조치법의 입법 취지와 달리 많은 토지를 동네 분, 친척 등이 불법적으로 소유권이전등기를 경료하였습니다. 당시 보증서에 보증한 보증인은 마을별로 5인을 선정하여 3인의 보증인이 보증서에 서명하였습니다. 부동산특별조치법은 권리추정력이 가장 강하여 진정한 상속인이 되찾기 가장 힘들게 대법원 판례가 형성되어 있습니다. 소송을 하기 전에 보증인을 섭외하여 원고 편으로 만들어야 하며, 소송 중 법정에서 보증서 내용을 번복하여 특조법으로 이전한 내용을 복멸시켜야 승소 가능합니다. 먼저 해당 지번의 대장(카드식대장,구대장포함)과 등기(구등기부등본,폐쇄등기부등본포함)를 발급받아 몇년도에 시행한 법률 제 몇 호 특별조치법으로 등기하였는지 알아보시기 바랍니다.
조상땅찾기 문의는 findarea로 방문하세요.
'findarea 답변 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조상땅 특조법 보증인 (0) | 2017.01.12 |
---|---|
[조상땅찾기] 조상땅찾기 구토지대장, 구임야대장, 구등기부등본 (0) | 2017.01.12 |
조상땅찾기 동명이인 (0) | 2017.01.12 |
조상땅 토지대장, 임야대장 (0) | 2017.01.11 |
조상땅 찾기 미등기 토지 사정자 (0) | 2017.01.11 |